연말정산을 하면 부양가족 기준에 대한 것이 항상 어렵기 마련인데요, 연말정산에서 인적공제를 어떻게 받느냐에 따라 공제액의 크기가 많이 달라지기 때문에 부양가족 기준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준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준은 소득기준, 나이기준, 생계기준 세 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생계요건은 실무적으로는 정확히 생계를 같이하는 여부를 확인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일단은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되며 소득기준과 나이기준만 체크하면 되겠습니다.
나이요건
부양가족 기준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나이요건도 중요한데요, 만약 부양가족 대상자가 직계비속이라면 20세 이하여야 하며, 직계존속이라면 60세 이상이어야 합니다. 단, 배우자인 경우에는 나이요건은 별도로 없이 소득기준만 맞으면 됩니다.
만약 부양가족 기준이 되는 대상자 중 70세 이상이 있다면 기본으로 받는 공제에 ‘경로우대자공제’로 1인당 100만원을 추가로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공제가 1인당 150만원 이므로 70세 이상이라면 100만원이 추가된 250만원을 공제받게 됩니다.
소득요건
부양가족 기준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포함하고자 하는 부양가족이 연간 소득이 100만원 이하인 자만 포함이 됩니다. 만약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에는 총 급여액이 5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소득의 종류는 굉장히 많고 그 경우의 수가 복잡하므로 연간소득 100만원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이트에서 소득 종류별 체크를 통해 해당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소득기준과 나이기준만 맞다면 누구나 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항목이므로 꼭 기준을 알고 잘 챙겨야 하겠습니다.
인적공제
인적공제라는 것은 다양한 소득공제의 항목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공제 항목으로서 근로자 본인 및 생계를 같이하는 부양가족에 대해 1인당 150만원의 기본공제를 적용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만약 기본공제 대상자 중 70세 이상인자, 장애인, 중증질환자, 부녀자, 한부모에 속한다면 기본공제 150만원과 함께 추가공제 50만원~200만원이 더 공제되게 됩니다.

이제까지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부양가족 기준은 늘상 헷갈리고 어려운 항목 중 하나이지만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 중 가장 기본이 되고 중요한 항목인 만큼 꼼꼼하게 잘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양가족 기준을 잘 확인하고 13월의 월급을 잘 챙기시기 바랍니다.
국세 환급금 조회 미환급금찾기 2023년 정부24홈페이지 이용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