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예금자보호 및 안정성조회 방법 (경영실적조회)

은행에 자금을 맡긴 후 사건이 터지면 (횡령이나 부실 등) 나의 예치한 예금 등에 대해 예금자보호는 되는지 등 불안할 수 있습니다. 은행별 홈페이지를 이용하면 내가 예치한 은행의 안정성조회 및 신용도를 간단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시중은행 안정성조회

은행의 안정성을 조회하려면 홈페이지 내에 경영공시 자료를 참고해야 합니다. 최근 사건이 있었던 두 은행을 예시로 들어서 조회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새마을금고 안정성조회

새마을금고는 시중은행과 약간 다릅니다. 새마을금고 중앙회에서 전체를 컨트롤하지만, 각 지역의 지점마다 각기 다른 독립 법인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두 가지를 염두에 두어야 하는데요,

첫 번째는 각 지점마다 안정성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내가 예치한 지점을 찾아서 안정성 조회를 해야 합니다.

안정성조회

새마을금고 안정성 조회를 위해서는 각 지점을 찾아서 들어가는 노력을 한번 더 해야 합니다.

새마을금고 중앙회 홈페이지 – 사업안내 – 정기공시 메뉴로 들어가서 내가 예치한 지점명을 클릭합니다. 이후 경영평가보고서를 보면 되는데요,

특히 경영평가보고서 31번 항목의 종합등급을 봐 주시면 됩니다. 1~5등급까지 나오며 1등급이 가장 좋고 안정성이 높습니다.

예금자보호

새마을금고 예금자보호

두 번째는 예금자보호가 각 지점마다 각각 5천만원씩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이 부분은 장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만약 새마을금고에 1억원을 넣으실 거라면 각각 다른 지점에 5천만원씩 넣으시면 전액 예금자보호가 되게 됩니다.)

경남은행 안정성조회 (예금자보호)

우선 경남은행 입니다. 최근 PF자금 횡령으로 곤혹을 치르고 있는데요, 경남은행은 지방에 본점을 둔 전국구 은행으로 창원에 본점을, 울산에 큰 거점을 두고 있는 은행입니다.

예금자보호는 시중 은행과 같이 500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안정성 조회를 위해 경영공시를 찾도록 하겠습니다.

경영공시란을 찾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홈페이지 가장 하단의 ‘은행소개’를 클릭하여 들어간 후 투자정보 – 경영공시 로 찾아 들어가야 합니다.

각 연도별 분기별 경영실적과 재무제표, 리스크 관리 등 현황이 나와 있습니다.

👉참고글 더보기

[예금금리 가장 높은 곳 찾기 (예금금리 비교 사이트 1위)

[내 보험 찾아줌 홈페이지 (내 보험계약 3초 조회, 숨은 보험금 찾기)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무료발급 바로가기 (12개은행 및 포털)